연산자 - 계산 작업을 수행한다 - 산술 연산자 / 대입 연산자 / 증감 연산자 /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등이 있다 산술 연산자 +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나누기, % : 나머지 [ 더하기 (+)는 문자에 적용할 경우 문자의 결합을 의미한다 ] 대입 연산자 A = B [ B를 A에 대입한다 ] A += B [ A+B를 A에 대입한다 ] A -= B [ A-B를 A에 대입한다 ] A *= B [ A*B를 A에 대입한다 ] A /= B [ A/B를 A에 대입한다 ] A %= B [ A%B를 A에 대입한다 ] 증감 연산자 - 숫자 데이터를 1씩 증감시키는 연산자 ++(증가), --(감소)가 있다 비교 연산자 - 두 데이터를 비교할 때 사용한다 참(TRUE)또는 거짓(FALSE)..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기본 문법의 관한 포스팅입니다 자바스크립트란? - HTML 문서의 정적이고 단조로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스크립트 언어 - 웹문서를 동적으로 꾸밀 때 널리 쓰인다 기본 사용 형태 - 스크립트 태그로 자바스크립트를 선언하고 안에 코드를 작성 작성 위치 - 영역 또는 영역에 위와 같이 선언하여 사용합니다 - 대부분 영역에 사용하지만 필요/취향 에따라 영역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출력 - 기본적인 예제를 이해하기위해 출력방법을 알아봅시다 - 화면에 Hello World~ 가 출력됩니다 [ 명령어에 관한 설명은 추후 등장합니다 ] 주석 - // : 한줄 주석 - /* 여러줄 주석 */ 외부스크립트 불러오기 - JS파일로 저장한 JavaScript 코드 파일을 불러올 수 ..
SQL 그룹 함수인 MAX / MIN / COUNT의 관한 포스팅입니다 아래의 테이블을 이용해 설명하겠습니다 NAME CLASS SALARY 철수 A 100 영희 B 200 훈이 B 400 정훈 A 300 현우 A 350 MAX, MIN MAX( EXPR ) - EXPR중에서 최댓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MIN( EXPR ) - EXPR중에서 최솟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SELECT MAX(SALARY) , MIN(SALARY) FROM TABLE - SALARY칼럼의 가장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해 달라는 쿼리이다 MAX( SALARY ) MIN( SALARY ) 400 100 각각 가장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인 400 / 100 이 출력되었다 MAX와 MIN 은 그룹 함수로서 GROUP BY 절을 이용..
SQL 그룹 함수인 SUM( )과 AVG( )의 관한 포스팅입니다 아래 테이블로 설명을 진행하겠습니다 NAME CLASS SALARY 철수 A 100 영희 B 200 훈이 B 300 정훈 A 400 현우 A 400 SUM SUM( EXPR ) - EXPR의 총합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SELECT SUM(SALARY) FROM TABLE - SALARY칼럼의 총합을 구해달라는 내용입니다 SUM(SALARY) 1400 하나의 행만 출력되며 모든 ROW의 SALARY 값을 더해 출력이 됩니다 SUM 함수는 그룹 함수로써 GROUB BY 절을 이용해 그룹별로 묶어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SELECT CLASS , SUM(SALARY) FROM TABLE GROUP BY CLASS - 클래스 별로 SALARY의 ..
이번에는 그룹 단위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 그룹 단위로 묶어주는 GROUP BY절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GROUP BY GROUP BY 절은 반드시 그룹 함수( COUNT, MAX, MIN, AVG, SUM,... )들과 함께 쓰인다 GROUP BY절이 그룹 함수들의 연산에 기준이 됩니다 말이 좀 어려운데 예를 하나 들어보자면 1부터 10까지 10개의 회사마다 사원들의 총합 급여를 알고 싶은 겁니다 각 회사마다 사원들이 있고 각 회사마다 사원들의 급여를 다 더하면 각 회사의 총합 급여가 되는데 사원들의 급여를 더할 때 회사를 기준으로 묶어서 각각 더하면 되겠죠 이때 회사를 기준으로 묶어주는 것을 GROUP BY절이 해줍니다 NAME COMPANY SALARY 철수 A 500 영희 A 450 정훈 B 4..
이번엔 데이터(문자)를 대소문자로 변환하는 함수들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값을 비교함에 있어서 대소문자가 다르다면 다른 값이 되기에 비교하기 전에 미리 맞춰줄 때 사용하면 좋겠죠 아래 칼럼 하나만 가지고 있는 테이블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COLOR Red blue GREEN LOWER() 값을 소문자로 변경하는 함수입니다 SELECT UPPER(COLOR) --> COLOR칼럼의 값들을 대문자로 바꿔 출력합니다. FROM TABLE LOWER(COLOR) red blue green 값들이 다 소문자로 바뀌어서 출력이 됩니다 UPPER() 값을 대문자로 변경하는 함수입니다 SELECT UPPER(COLOR) --> COLOR칼럼의 값들을 대문자로 바꿔 출력합니다. FROM TABLE UPPER(COLOR)..